전체 글1415 뉴욕증시 주요지수 소폭 상승 . . . 투자자들 관망세 안녕하세요 버핏이형입니다 뉴욕증시는 20~21일 예정된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관망세에 들어가면서 소폭 올랐습니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97.26포인트(0.64%) 상승한 3만1019.68로 장을 끝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56포인트(0.69%) 상승한 3899.89로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6.62포인트(0.76%) 뛴 1만1535.02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관망세에 증시는 오전 하락세를 보이다 반등하는 등 이렇다할 방향성을 잃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우지수는 지난주에만 4% 넘게 빠졌고 나스닥지수.. 2022. 9. 20. 뉴욕증시 '최악의 한 주' 보낼 때 13% 오른 ETF 안녕하세요 버핏이형입니다 지난주 뉴욕 증시가 고물가와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6월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인 가운데 , '프로셰어즈 울트라 VIX 단기 선물 ETF(UVXY)'는 이같은 상황에 힘입어 13% 이상 상승했습니다 UVXY는 시장 변동성이 극심한 시기에 우수한 실적을 내는 VIX ETF입니다 VIX 지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 상장된 S&P500 지수옵션의 향후 30일간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나타낸 지수를 뜻합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투자자들의 옵션 수요가 증가해 옵션 가격이 높아지고 , 이에 따라 VIX는 지수도 올라가게 됩니다 이런 경향 탓에 공포지수라고도 불립니다 UVXY의 최근 상승세는 지난주 VIX 지수가 급상승한 것.. 2022. 9. 19. '내가 사면 내리네' . . . 코로나19 이후 개인 주식 수익률 더 낮아져 안녕하세요 버핏이형입니다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 코로나19 확산 이후 신규 투자자들이 대거 진입하면서 개인의 수익률이 되레 낮아졌으며 , 이런 변동성 확대를 막기 위해선 주식 관련 대출 심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8일 '코로나19 전 후 개인투자자의 손익률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의 투자자별 주식거래 실적 등을 이용해 598개 종목의 개인 매매의 수익률을 분석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가 2017년 1월 ~ 2019년 12월과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0년 1월 ~ 2021년 8월을 나눠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확산 이전에는 개인의 순매수세가 강했던 주로부터 20일 후까지 주가가 상승하고 , 순매도세가 강했던 주로부터는 2.. 2022. 9. 18.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산 종목은 ? 안녕하세요 버핏이형입니다 레버리지•인버스 상품 투자 몰려 . . . "보수적 대응 필요" 미국 증시 약세와 킹달러 현상에 미국 주식 순매도에 나섰던 '서학개미'들이 킹달러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다시 미국 주식 '사자'로 전환했습니다1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6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을 1억3천957만달러(한화 약 1천940억원)를 순매수했습니다 국내 투자자는 미국 증시에 대해 올해 줄곧 매수 우위로 대응해오다가 미국 증시 약세와 환율 급등에 따라 순매수를 멈추고 7월과 8월에는 각각 367만달러(약 51억원) , 5억7천153만달러(약 7천944억원)를 순매도했습니다 7월 이후 반등한 주식에 대해 달러 급등에 따른 환차익을 누리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다 이달 들어 8월 미국 .. 2022. 9. 18. 미국 거물투자자 , 뉴욕증시 추가 급락 가능성 경고 안녕하세요 버핏이형입니다 미국 헤지펀드 업계의 거물 투자자 레이 달리오가 뉴욕증시의 추가 급락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마켓워치에 따르면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창립자인 달리오는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금리가 4.5% 정도로 오르면 주가에 20% 가량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습니다 달리오는 지난 13일 시장의 예상치 이상으로 급등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후 올린 글에서 "금리가 4.5%에서 6% 범위를 향해 많이 올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민간 부문의 신용 성장을 낮추고 따라서 경제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2.25%~2.5% 수준이며 , 이번 금리인상기의 최종 금리는 당초 4% 정도로 전망.. 2022. 9. 17. 이전 1 ···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283 다음 반응형